학생 (대학원생, 조교) 강사의 강의 효과 : 네덜란드 사례
강사를 무작위로 학생에게 배정하는 환경에서는
학생 강사가 학생의 장,단기 학업 성취도와 노동시장 성과를 개선하는 데
선배 강사 못지않게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전 세계 많은 대학에서 학생 강사는 대학교육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러한 강사들은 현재 등록된 학사 및 석사 과정 학생들로, 일반적으로 강의 내용을 보완하는 튜토리얼 이나 연습 또는 실습 과목 에서 소규모 그룹을 가르친다. 학생 강사를 채용하는 것이 더 많은 상급 직원들보다 상당히 저렴하기 때문에 대학의 입장에서 보면 큰 장점이다.
그러나 학생 강사들은 경험이 많이 부족하고 교수나 강사들에 비해 자격이 훨씬 덜 갖춰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이 교수나 강사만큼 효과적으로 같은 수준의 교육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학생들을 노동시장에 대비시킬 수 있는지 의문이다.
이에 대해 Jan Feld, Nicolas Salamanca, Ulf Zölitz 교수진은 'Students Are Almost as Effective as Professors in University Teaching' 이라는 논문을 통해 학생 강사가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노동시장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다. 교수진은 학생 강사의 효과를 연구하는 데 두 가지 핵심 기능을 가진 기관인 마스트리히트 대학의 경영경제대학원(SBE)의 데이터를 사용했다.
첫째, 많은 강좌에서 학생 강사가 교수들이나 선배강사들과 동일한 강의 자료를 사용하여 튜토리얼을 가르치고, 강사 재량에 따라 학생들에게 필요한 내용을 가르칠 수 있다.
둘째, 튜토리얼 그룹(따라서 강사)에 대한 학생 할당은 무작위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학생과 강사의 내생성에 대한 걱정 없이 강사 유형이 학생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할 수 있었다.

연구진들은 학생들이 학생 강사에게 배정되면 학생들의 성적이 표준 편차의 2.3%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약간의 유의미한 효과일 뿐이라고 본다. 이러한 효과는 학생 강사가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약간 불균형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구진들은 후속연구로 학생 강사에게 수업을 받은 학생 성적이 눈에 띄게 좋거나 나빠지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 학생들의 과정평가를 보면 학생 강사가 더 부정적으로 평가된다는 미약한 증거만 발견될 뿐, 졸업 후 구직 기간, 소득, 직업 만족도 또는 소급 학습 만족도와 같은 학생들의 장기적인 성과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현재까지 학생강사가 다른 대학 강사만큼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외면받았다. 그러나 연구진들이 대학원 조교(TA)의 국적과 민족성이 학생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 논문들을 살펴본 결과 아래와 같다.
Lusher, Campbell, Carrell(2015)은 대학원 조교의 민족성의 역할을 연구 하였는데 학생들이 동일한 민족성을 가진 대학원 조교에 배정 되었을 때 성적이 상승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반면, Borjas (2000), Fleisher, Hishimoto, Weinberg (2002) 는 외국 태생 대학원 조교의 효과를 연구하고 반대되는 결론에 도달했다. Borjas (2000)는 외국에서 태어난 조교가 학생 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지만, Fleisher, Hishimoto, Weinberg (2002)는 외국 태생 대학원 조교가 학생 성적에 무시할 만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며, 일부 상황에서는 이러한 영향이 긍정적일 수도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Better, Long, Taylor(2016)는 박사과정 학생이 (조교가 아닌) 강사로 있을 때 학생들의 후속 전공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만약 과목의 첫 번째 과정이 박사과정 학생에 의해 가르쳐진다면 학생들이 그 과목을 전공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중 어느 것도 학생과 학생이 아닌 강사의 효과를 비교하지 않는다. 연구진들은 연구 결과, 학생 강사가 선배 강사와 비교했을 때 부가가치 면에서 차이가 없다고 본다. Rivkin et al., 2005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학업 성취도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지만, 교사의 질적 차이는 교육이나 경험과 같은 관찰 가능한 교사 특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고 본다. Chetty et al., (2014a, 2014b)은 초등학교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교사에게 배운 학생들이 평생 동안 양질의 대학을 다니고, 더 높은 소득을 가질 확률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대학에서 강사의 특성이 학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Bettinger & Long (2010)과 Figlio, Shapiro, Soter (2015)는 종신 강사와 임시강사 사이의 학생 성과에 대한 비교를 해보니, 임시 강사가 학생성과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발견했다. Hoffmann & Oreopoulus (2009)는 학업 순위와 급여와 같은 객관적인 강사와 관련된 특성은 학생의 성과를 예측하지 못하지만, 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는 학생의 성과와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견했다. De Vlieger, Jacob & Stange(2017)는 대형 사립 대학의 대학 대수 (Algebra course) 과정에서의 강사 성과는 강의 경험과 함께 다소 증가하지만 급여와는 관련이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Fairlie, Hoffmann & Oreopoulos (2014) 는 소수의 학생들이 소수의 강사에게 혜택을 받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고등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여러 문헌들 중 학생 강사를 명시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없다.
학생 강사는 대학에서 다른 유형의 강사들과 상당히 다르다. 가장 분명한 차이는 자격과 경험인데, 이는 학생 강사들이 원칙적으로 더 많은 상급 강사 들보다 덜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하지만, 학생 강사들은 학생들과의 공통된 특성과 경험이 있어 더 잘 소통할 수 있고, 이로인해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대학 입장에서는 학생 강사들이 직, 간접적으로 보수가 적고, 이들이 요구하는 간접비 측면에서 비용이 저렴하다. 게다가 수강생 출신이 많기 때문에 추가적인 모집 노력이 거의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학생 강사 시장이 지속적으로 유지 되고 있다. 강사 유형의 차이가 극명하고, 전 세계 대학 강의에서 학생강사를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점을 고려할 때, 이 독특한 저비용 강의 자원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은 대학교육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연구가 부족한 학생 강사의 효과를 조사했다. 연구진들이 살펴본 광범위한 학문적, 노동적 시장 결과에 대해서 어떠한 큰 효과가 없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이러한 발견은 교사 자질의 미묘한 특성과 고등교육에서의 학습 과정의 복잡성을 암시한다.
연구 결과는 적어도 세 가지 메커니즘에 의해 주도될 수 있다.
첫째, 학생 강사들은 어쩌면 그들의 지식과 경험 부족을 학생들과 잘 연결함으로써 보완할지도 모른다. 학생 강사 중 많은 이들이 머릿속에 신선한 수업 자료를 가지고 있고, 잠재적으로 새로운 강의를 할 때 더 잘 준비 할 수도 있다.
둘째, 상급 강사들이 가르치는 데 노력을 덜 들여서 상급강사들과 학생 강사 사이의 격차를 좁히는 것일 수도 있다.
셋째, 좋은 선생님이 되는것은 강사가 학생 선생님인지 아닌지와는 관련이 없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차별화하는 것은 인력 정책과 교육 인센티브의 적절한 설계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대학이 학생의 성취도 측면에서 거의 비용 없이 학생 강사 활용을 확대함으로써 재원을 해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대학 정책을 알릴 수 있다. 만약 충분한 학생들이 기꺼이 튜토리얼을 가르칠 수 있다면, 그들은 상급 강사나 교수들의 수업 부담을 줄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본다.
Jan Feld & Nicolas Salamanca & Ulf Zoelitz, 2017. "Students Are Almost as Effective as Professors in University Teaching," Melbourne Institute Working Paper Series wp2017n23, Melbourne Institute of Applied Economic and Social Research, The University of Melbourne.